연구실 안전교육 - 2024 전기 안전교육 정답
2024 전기 안전교육 학습내용
- 감전사고의 방지
- 전기 화재
- 감전사고 사례 및 응급처치
- 전기화재 원인 및 예방대책
'2024 전기 안전교육 정답' 모음은 본문 맨 아래에 있어요!
Q1 다음 중 감전사고로 인한 재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감전사고로 인한 재해는 다른 재해에 비해 발생률은 낮으나 일단 재해가 발생하면 치명적인 경우가 많으며, 또한 다행히 생명을 건졌다 하더라도 평생 동안 장애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
Q2 다음 중 누전으로 인한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전기설비 시공은 필히 유자격자가 기술기준에 따라 시공하여야 한다.
Q3 다음 중 과부하로 인한 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덮개 혹은 단열재 사이에 전선이 있는 경우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Q4 다음 중 전선의 열화진행 단계에 따른 외형 변화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해설 열화 4단계는 전선피복이 심하게 용융되고 탄화된다.
Q5 다음 중 전기화재의 발생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전기화재의 발생원인은 단락(합선), 접촉불량, 과전류, 누전, 반단선 등이 있다.
Q6 다음 중 전선 절연피복의 손상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전선 절연피복의 손상 원인은 외력으로 인한 절연피복 파손, 국부 발열에 의한 절연열화 진행, 외부 열에 의한 절연파괴가 있다.
Q7 다음 중 통전전류 크기별 증상 연결로 잘못된 것은?
해설 통전 전류가 50~100mA 일 때 사망을 우려할 수 있으며 15mA인경우 강렬한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Q8 전기기기 및 장치의 전기화재 예방을 위한 대책으로 볼수 없는 것은?
해설 배선, 코드의 용량은 용량이상의 여유 용량을 확보하여 과열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Q9 다음 중 반단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반단선은 전선이 절연피복 내부에서 단선되어 불시로 접속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소선의 일부가 끊어져 있는 상태이다. 전선이 절연피복 내부에서 단선되어 불시로 접속되는 상태, 또는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 로 소선의 일부가 끊어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Q10 다음 중 전기화재의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해설 발화경과별, 발화설비 및 발화기인물별, 상태별 전기화재를 주요 원인으로 볼 수 있다.
▶ 2024 전기 안전교육 정답 보기
▶ 연구실 안전교육 더 보기
'IT Ti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실 안전교육 - 2025 방사선·레이저 안전교육 정답 (0) | 2024.03.22 |
---|---|
연구실 안전교육 - 2024 가스 안전교육 정답 (0) | 2024.03.22 |
연구실 안전교육 - 2024 소방 정답 (0) | 2024.03.21 |
연구실 안전교육 - 2024 보건 환경 정답 (0) | 2024.03.21 |
연구실 안전교육 - 2024 화학 안전교육 정답 (0) | 2024.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