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93 Git remote 명령어 git remote명령어란? remote repository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git remote" 실행시 현재 remote repository의 단축이름을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origin"으로 표기된다. option -v remote 단축이름과 함께, remote repository의 주소를 보여준다. remote repository 추가하기 working directory에 새로운 remote repository를 추가할 수 있다. git remote add e.g., "ess_origin" 단축이름과 함께 "essgit@srv-kr-git01.com:/ess_project.git" 추가할 경우 git remote add ess_origin essgit@srv-kr-git01.com:/.. 2019. 6. 5. Git diff 명령어 Git diff 명령어란? 두 commit간 또는 HEAD(Latest commit)과 현재의 working directory의 차이점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위 그림처럼 수정된 라인과 수정된라인을 라인별로 스크롤해서 비교해볼수 있다. working directory상에서 단 하나의 코드만 변경되어도 추가되고 삭제된 라인을 "+", "-" 기호로 보여준다. 단 소스코드에서는 보기 편하나, 문서파일은 보기 힘든 단점이 있다. "q" 입력하면 exit된다. Option : --color-words "+", "-" 기호가 아닌, 문자로 변경부분을 보여준다. e.g., $git diff --color-words --words-diff "+", "-" 기호를 포함시켜 좀 더 명확하게 변경부분을 보여준다. e.g... 2019. 6. 5. Git 기본 개념 정리 1. GIT의 역사 Git(깃) 리눅스 커널 개발을 개발한 핀란드 개발자 리누스 토발즈가 만든 버전 관리 툴(VCS : Version Control System)이다. 프로그래머가 작업한 소스코드를 압축하여 별도의 저장소(Repository)에 저장해두고 작업한 history를 열람할수 있도록 개발한 툴이 Git이다. Linux 기반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Bash 명령 기반으로 명령을 입력하여 실행하는 방식이지만, Web과 같은 GUI기반의 툴도 존재한다. Commit의 구조 git commit명령으로 실행 가능하며, Local Repository에 현재 작업한 소스코드를 저장하기위해 사용된다. 하나의 commit이 추가될때는 이전 commit에서 변경된 부분만 추가된다. 즉 commit은 chain .. 2019. 6. 4. Jenkins 꼭 써야하나? Jenkins는 무엇인가? 쉽게 말해, 빌드를 자동화해주고 빌드로 생성된 이미지를 자동으로 서버에 올려주는 등의 일(배포, release)을 하는 웹 기반 자동 빌드 툴이다. 그럼 빌드란 무엇인가? 빌드는 쉽게 말해, 어떤 Target을 실행을 시키기 위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이다. 보통 c파일과 같은 개별 코드나 라이브러리들을 object형태로 변환하고 이 object들을 다시 하나의 실행할 수 있는 큰 덩어리인 이미지로 생성시킨다. 그럼 Jenkins를 꼭 써야 하는가? 본인 시간이 너무 많고, 개별적으로 개발하는 단일 프로젝트인 경우에는 굳이 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본인의 소중한 시간을 조금이라도 아끼려는 욕망이 있으면 나는 쓰는 것을 추천한다. 이렇게 생각해보자. 내가 없고, 노는.. 2019. 5. 21. 이전 1 ··· 42 43 44 45 46 47 48 49 다음